맨위로가기

베가 (이스라엘 왕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가(Pekah)는 이스라엘 왕국의 제18대 왕으로, 50명의 길르앗 사람들과 공모하여 페카히야를 암살하고 즉위했다. 그는 아람-다마스쿠스의 레신과 반 아시리아 동맹을 맺고 유다 왕국을 공격했으나, 예언자 이사야는 아하스 왕에게 아시리아를 의지하지 말 것을 경고했다. 아하스가 아시리아에 원조를 요청한 결과, 아시리아의 침공으로 다마스쿠스가 멸망하고 북이스라엘도 침략당했다. 베가는 호세아에게 암살당했으며, 이스라엘은 기원전 722년에 아시리아의 속주가 되었다. 베가의 통치 기간에 대한 성경 기록은 논쟁의 대상이 되며, 두 가지 상반된 계산법과 경쟁 왕국 가설이 제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스라엘의 군주 - 아각
    아각은 아말렉 왕의 칭호이자 고대 이스라엘과 아말렉 민족 간 갈등을 상징하는 성경 속 인물로, 사울에 의해 포로로 잡혔다가 사무엘에게 죽임 당했으며, 에스델기에 등장하는 하만과 관련된 원한의 배경이 되었다.
  • 이스라엘의 군주 - 요한 히르카노스
    요한 히르카노스는 하스몬 왕조 유대의 지도자로서, 셀레우코스 제국의 영향력 약화를 틈타 유대 독립을 공고히 하고 영토를 확장했으며, 사마리아 정복, 이두매아인 강제 개종, 로마 공화국과의 우호 관계 강화 등의 정책을 추진했다.
  • 성경의 인물 - 바르나바
    바르나바는 '위로의 아들'이라는 뜻을 가진 별칭으로, 신약성경에 등장하는 초기 기독교의 중요 인물이며 바울의 사도적 성장에 기여한 키프로스 출신의 레위인이다.
  • 성경의 인물 - 구속주
    구속주는 구약과 신약성경에서 구원을 가져다주는 존재를 의미하며, 기독교에서는 예수 그리스도를 지칭하는 중요한 칭호로, 헬라어 "소테르"는 '구원자'를 의미하며 기독교에서는 하나님과 예수 그리스도에게만 적용되는 칭호로 여겨진다.
  • 살해된 기원전 8세기 군주 - 살룸
    살룸은 이스라엘 왕 스가랴를 모반하여 왕위를 찬탈했지만 한 달 만에 므나헴에게 살해당한 열왕기하의 인물이다.
  • 살해된 기원전 8세기 군주 - 브가히야
    브가히야는 기원전 741년 이스라엘 왕국의 왕이 되었으나, 2년 후 반 아시리아파에 의해 살해당했으며, 우상 숭배를 국책으로 추진했다.
베가 (이스라엘 왕국) - [인물]에 관한 문서
개요
기욤 루이의 "Promptuarium Iconum Insigniorum" (1553)에 수록된 초상화
칭호이스라엘 왕
통치 기간기원전 740년경 – 기원전 732년
이전 통치자브가히야
다음 통치자호세아
사망일기원전 732년경
아버지레말리야
인물 정보
이름베가
로마자 표기Peka
히브리어페카
아카드어𒉺𒅗𒄩 (파카하)
라틴어Phacee (파케에)

2. 즉위 과정

베가는 자신의 출신 지역인 길르앗 사람 50명과 공모하여, 전왕 페카흐야를 암살하고 이스라엘 왕국의 왕위를 차지했다.[7]

3. 반 아시리아 정책과 시리아-에브라임 전쟁

베가는 길르앗 출신 추종자들의 도움을 받아 프카히야를 살해하고 왕위에 올랐다.[7] 그는 선왕 므나헴과 프카히야의 친아시리아 정책과 과도한 공물 부담에 반발하여, 아람의 왕 레신과 동맹을 맺고 반아시리아 노선을 걸었다. 이 동맹의 주요 목적 중 하나는 기원전 738년 므나헴에게 막대한 공물을 강요했던 아시리아 왕 티글라트-필레세르 3세의 추가적인 침략에 공동으로 대응하려는 것이었다.

베가와 레신은 유다의 왕 요담과 그의 뒤를 이은 아하스에게 동맹에 가입할 것을 요구했다. 그러나 유다가 이를 거절하자, 베가와 레신은 연합군을 이끌고 예루살렘을 공격했다. 이 사건은 시리아-에브라임 전쟁의 시작을 알리는 것이었다.

3. 1. 이사야의 예언과 아하스의 선택

이스라엘 왕 베가는 아람 다마스쿠스의 왕 레신과 함께 반아시리아 동맹을 결성했다. 이는 므나헴과 프카히야의 친아시리아 정책과 과도한 공물 납부에 대한 반발로 추정된다. 베가와 레신은 유다 왕국의 왕 아하스에게 동맹 가입을 강요했으나 거절당하자 예루살렘을 공격했다.[8] 이들은 아하스를 폐위하고 동맹에 우호적인 '타베엘의 아들'을 왕위에 앉히려 했다.[8]

이러한 위기 상황에서 예언자 이사야는 아하스 왕에게 나타나, 베가와 레신을 두려워하지 말고 아시리아에 의존해서는 안 된다고 충고하며 두 왕의 멸망을 예언했다. 이사야는 이사야서 7장 14절임마누엘 예언을 통해, 한 아이(히스기야로 추정[9])가 옳고 그름을 분별할 나이가 되기 전에 아시리아 왕에 의해 베가와 레신이 모두 패망할 것이라는 징조를 제시했다.

그러나 아하스 왕은 이사야의 충고를 받아들이지 않고, 아시리아의 왕 티글라트-필레세르 3세에게 사신을 보내 도움을 요청하며 공물을 바쳤다.[7] 이에 티글라트-필레세르 3세는 군대를 동원하여 다마스쿠스를 함락시키고 아람을 병합했으며, 레신 왕을 처형하고 백성들을 추방했다.[10] 열왕기하 16장 9절에 따르면 아람 백성들은 추방되고 레신은 처형되었다. 또한 아시리아는 북이스라엘을 침공하여 이욘, 아벨 벳 마아가, 야노아, 게데스, 하솔 등 여러 성읍과 길르앗, 갈릴리 및 납달리 지파의 영토를 점령하고 주민들을 아시리아로 끌고 갔다고 열왕기하 15장 29절은 기록하고 있다. 티글라트-필레세르 3세는 자신의 비문에도 이러한 정복 활동을 기록했다.[11]

3. 2. 아시리아의 침공

베가는 아람 다마스쿠스의 왕 레신과 반아시리아 동맹을 결성했다.[7] 이는 므나헴과 페카히야의 친아시리아 정책과 아시리아에 대한 공물 부담에 대한 반발 때문으로 보인다. 동맹의 주요 목적은 기원전 738년 므나헴에게 막대한 공물을 요구했던 아시리아 왕 티글라트-필레세르 3세의 추가 침략에 대비하는 것이었다.

베가와 레신은 유다 왕국의 왕 아하스에게 동맹 가입을 강요했으나 거절당하자 예루살렘을 공격했다. 이는 시리아-에브라임 전쟁으로 이어진다. 그들은 아하스를 몰아내고 동맹에 우호적인 '타브엘의 아들'을 유다 왕위에 앉히려 했다.[8]

예언자 이사야는 아하스에게 베가와 레신을 두려워하지 말고, 아시리아에 의존해서도 안 된다고 충고했다. 이사야 7:14의 임마누엘 예언은 아하스가 레신과 베가를 두려워했음을 보여주며, 아이(아마도 히스기야[9])가 자라기 전에 두 왕이 아시리아에 의해 멸망할 것을 예고했다.

그러나 아하스는 이사야의 충고를 무시하고 티글라트-필레세르 3세에게 공물을 바치며 도움을 요청했다.[7] 아하스의 요청에 따라 티글라트-필레세르 3세는 군대를 동원하여 아람과 이스라엘을 침공했다.

아시리아 군대는 다마스쿠스를 약탈하고 아람을 아시리아의 속주로 합병했다(기원전 736년 - 기원전 732년).[10] 열왕기하 16장 9절에 따르면 아람 백성은 추방되었고 왕 레신은 처형되었다.

열왕기하 15장 29절에 따르면, 티글라트-필레세르 3세는 이스라엘 왕국도 공격하여 이욘, 아벨 벳 마아가, 야노아, 게데스, 하솔 등 북부 주요 도시들을 점령했다. 또한 길르앗과 갈릴리 지역, 납달리 지파의 모든 영토를 빼앗고 그 주민들을 아시리아로 강제 이주시켰다. 티글라트-필레세르 3세 자신도 비문을 통해 이 사실을 기록했다.[11]

이러한 패배 이후, 베가는 호세아에게 암살당했다. 호세아는 베가의 군대 대장이었다. 티글라트-필레세르 3세의 비문에도 베가가 동족에게 살해당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는 아시리아와의 전쟁에서 패배가 확실해지자, 백성들이 전쟁을 계속하려는 베가를 제거하고 아시리아에 항복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7] 이스라엘은 결국 기원전 722년에 아시리아의 속주가 되었다.

4. 베가의 죽음과 이스라엘의 멸망

아시리아티글라트-필레세르 3세다마스쿠스를 점령하고 북이스라엘 영토 상당 부분을 정복한 이후, 베가는 자신의 군대 대장이었던 호세아 벤 엘라(엘라의 아들 호세아)에게 암살당했다.[7] 호세아는 베가를 살해하고 스스로 왕위에 올랐다. 티글라트-필레세르 3세 역시 자신의 비문에서 베가가 동료 이스라엘인들에게 살해당했다고 기록했는데, 이는 아시리아와의 계속된 전쟁에서 패배가 불가피하다고 본 백성들이 항전을 주장하던 베가 왕을 제거하고 아시리아에 항복하려 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7]

베가가 암살되고 호세아가 왕위를 이었지만, 이스라엘은 결국 기원전 722년 아시리아에 의해 완전히 멸망하고 아시리아의 속주가 되었다.

5. 베가의 통치 기간에 대한 논란

베가의 통치 기간에 대해서는 성경 기록 간에 차이가 있어 상당한 논쟁이 존재한다. 그의 통치가 끝난 시점은 기원전 732년 또는 731년으로 비교적 확실하게 받아들여지지만, 통치 기간 자체에 대해서는 두 가지 상반된 계산 방식이 제시된다.

한 계산법은 열왕기 하권 15장 27절 등을 근거로 베가에게 20년이라는 긴 통치 기간을 부여한다. 이 경우 그의 통치는 기원전 752년에 시작한 것이 되며, 이는 유다의 왕 요담과 아하스의 통치 시작 연도와 관련된 성경 기록과 들어맞는다.

그러나 다른 성경 기록(열왕기 하권 15:27의 다른 해석 등)은 그가 유다 왕 웃시야(아사랴) 52년째인 기원전 740년에 통치를 시작했다고 제시하며, 이는 훨씬 짧은 통치 기간을 의미한다. 또한, 베가가 왕위를 차지하기 전에 통치했던 므나헴과 베가히야의 통치 기간, 그리고 므나헴이 아시리아의 디글랏 빌레셀 3세에게 조공을 바친 시점(기원전 745년 이후)을 고려할 때, 20년 통치설은 외부 역사 기록과 명백한 연대기적 불일치를 일으킨다.[11]

이러한 모순 때문에 많은 학자들은 베가에 관한 성경 기록의 역사적 정확성에 의문을 제기해왔다. 예를 들어, 학자 D. M. 비글은 베가의 20년 통치 기록을 다른 성경 내용이나 아시리아 역사와 조화시키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주장하며, 이를 성경 무오설 교리에 대한 반론의 근거로 삼기도 했다.[12] 이러한 논란과 불일치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해석과 가설들이 이후 학자들에 의해 제시되었다.

5. 1. 두 가지 상반된 계산법

베가의 통치 기간에 대한 성경 자료는 상당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그의 통치 종료 시점은 기원전 732년 또는 731년으로 비교적 확실하게 확정될 수 있다.

그러나 그의 통치에 대해 두 가지 상반된 계산법이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 긴 통치 기간 (20년): 한 계산법은 그에게 20년의 통치 기간을 부여하며(열왕기 하권 15:27), 이는 그의 통치 시작 날짜를 기원전 752년으로 본다. 이 날짜는 유다의 왕 요담이 베가의 통치 2년째인 기원전 750년에 통치를 시작했다는 기록(열왕기 하권 15:32)과, 요담의 후계자 아하스가 베가의 통치 17년째인 기원전 735년에 통치를 시작했다는 기록(열왕기 하권 16:1)과 일치한다.

  • 짧은 통치 기간: 다른 계산법은 열왕기 하권 15장 27절의 또 다른 해석에 근거하는데, 이는 베가가 유다의 웃시야(성경에서는 아사랴라고도 불림) 왕 52년째, 즉 기원전 740년에 통치를 시작했다고 본다.


이러한 계산법의 차이는 다른 역사적 기록과의 관계에서 모순을 일으킨다. 베가는 전임 왕 베가히야를 암살하고 왕위를 차지했으며(열왕기 하권 15:25), 베가히야는 2년간 통치했다(열왕기 하권 15:23). 베가히야의 아버지 므나헴은 그 이전에 10년간 통치했다(열왕기 하권 15:17). 므나헴은 아시리아의 왕 디글랏 빌레셀 3세(성경에서는 '불'이라는 이름으로도 언급됨)에게 조공을 바쳤는데(열왕기 하권 15:19), 이는 디글랏 빌레셀 3세의 비문에도 기록되어 있다.[11] 디글랏 빌레셀 3세는 기원전 745년에 즉위했으므로, 므나헴의 조공은 기원전 745년 이후의 일이어야 한다. 하지만 베가에게 20년의 긴 통치 기간을 부여하는 첫 번째 계산법(기원전 752년 시작)은 므나헴과 베가히야의 통치 기간을 고려할 때 이 아시리아 기록과 시기적으로 맞지 않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명백한 불일치로 인해 많은 학자들은 베가에 관한 성경 자료의 전부 또는 일부를 역사적 사실로 받아들이기 어렵다고 보았다. 예를 들어, 학자 D. M. 비글은 베가의 20년 통치 기간 기록을 다른 성경 기록이나 아시리아 역사와 조화시키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주장했으며, 이를 성경 무오설 교리에 대한 반론의 근거 중 하나로 사용하기도 했다.[12]

5. 2. 경쟁 왕국 가설

베가의 통치 기간에 대한 성경 자료는 상당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그의 통치 종료 시점은 기원전 732/731년으로 비교적 확실하지만, 통치 시작 시점에 대해서는 두 가지 상반된 계산법이 존재한다. 한 계산법은 그에게 20년의 긴 통치 기간을 부여하며(열왕기하 15:27), 이는 그의 통치 시작을 기원전 752년으로 본다. 이 날짜는 유다요담 왕이 베가 2년째인 기원전 750년에 통치를 시작했고(열왕기하 15:32), 요담의 후계자 아하스가 베가 17년째인 기원전 735년에 통치를 시작했다는 기록과 일치한다(열왕기하 16:1).

그러나 다른 성경 구절은 더 짧은 통치 기간을 시사한다. 열왕기하 15장 27절의 다른 해석이나 다른 구절들은 베가가 유다의 웃시야(아사랴) 52년째인 기원전 740년에 통치를 시작했다고 본다. 또한 베가는 베가히야를 암살하고 왕위를 차지했으며(열왕기하 15:25), 베가히야는 2년간 통치했고(열왕기하 15:23), 그의 아버지 므나헴은 10년간 통치했다(열왕기하 15:17). 므나헴은 아시리아의 왕 디글랏 빌레셀 3세(성경의 '불')에게 조공을 바쳤는데(열왕기하 15:19), 이는 디글랏 빌레셀 3세의 비문에도 기록되어 있다.[11] 디글랏 빌레셀 3세가 기원전 745년에 즉위했으므로 므나헴의 조공은 그 이후에 이루어졌을 것이다. 하지만 앞서 언급된 '긴 연대기'는 므나헴과 베가히야의 통치 기간을 포함하여 베가의 통치가 기원전 752년에 시작되었다고 계산하여 명백한 불일치를 보인다. 이 때문에 많은 학자들은 베가에 관한 성경 기록의 전부 또는 일부를 신뢰하기 어렵다고 보았다. D. M. 비글과 같은 학자는 베가의 20년 통치 기간을 다른 성경 기록이나 아시리아 역사와 조화시키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주장하며, 이를 성경 무오설에 대한 반론의 근거로 삼기도 했다.[12]

1887년, 칼 레데러(Karl Lederer)는 이러한 연대기적 불일치가 므나헴과 베가 사이의 경쟁 관계 때문에 발생했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즉, 베가의 통치 기간을 계산하는 두 가지 방식은 실제로 당시에 두 개의 다른 연대기 시스템이 사용되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이 경쟁은 므나헴이 살룸을 죽이고 그의 한 달 통치를 끝내면서 시작되었다고 본다(열왕기하 15:13-14).[13] 레데러의 가설은 유다의 네 왕(웃시야에서 히스기야까지)과 이스라엘의 세 왕(므나헴, 베가히야, 베가)의 연대기를 모두 설명할 수 있었지만, 오랫동안 학계에서 주목받지 못했다.

1954년, H. J. 쿡(H. J. Cook)은 레데러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새로운 근거를 제시했다.[3] 쿡은 성경이 명시적으로 언급하지는 않지만, 기원전 8세기 후반 북이스라엘에 두 개의 경쟁 왕국이 존재했을 가능성을 호세아서의 구절들을 통해 추론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호세아서 5장 5절과 같은 구절에서 '에브라임'이 때때로 북왕국 전체를 지칭하기도 하지만, 어떤 경우에는 '이스라엘'과 '에브라임'이 동의어가 아니라 별개의 정치체를 가리킨다고 분석했다.(Cook, pp. 132–134) 로저 영(Rodger Young)은 호세아서 5장 5절의 히브리어 원문에서 '이스라엘' 앞과 '에브라임' 앞에 각각 접속사 '와우'(vav)가 사용된 점을 지적하며 쿡의 주장을 강화했다. 이는 히브리어에서 "둘 다... 그리고"를 나타내는 방식으로, 이 구절에서 이스라엘과 에브라임이 구분됨을 시사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 구절을 "이스라엘, 곧 에브라임"처럼 번역하는 것은 원문의 의미를 제대로 살리지 못할 수 있다.[14]

베가 시대의 두 연대기 체계에 대한 레데러와 쿡의 경쟁 왕국 가설은 이후 여러 학자들에게 받아들여졌다. 대표적으로 에드윈 틸레(Edwin R. Thiele)는 그의 저서 ''The Mysterious Numbers of the Hebrew Kings''의 두 번째 판부터 이 가설을 수용했으며,[15] 레슬리 맥폴(Leslie McFall),[16] 프랜시스 앤더슨(Francis Andersen)과 데이비드 노엘 프리드먼(David Noel Freedman)의 앵커 바이블 시리즈 호세아서 주석,[17] T. C. 미첼(T. C. Mitchell)의 ''케임브리지 고대사''(Cambridge Ancient History),[18] 그리고 잭 파인건(Jack Finegan)의 ''성경 연대기 핸드북''(Handbook of Biblical Chronology) 등이 이 가설을 지지한다.[19]

5. 3. 아시리아 기록의 증거

아시리아 측 기록을 통해 베가 시대의 이스라엘 상황을 파악하려는 시도가 있다. 스탠리 로젠바움은 티글라트-필레세르 3세의 기록이 당시 아시리아 왕이 이스라엘 북부를 두 개의 왕국으로 구분했음을 보여준다고 주장한다.[20] 티글라트-필레세르 3세는 자신의 기록에서 북부 지역(텍스트상 납달리로 추정)을 아시리아 영토로 병합했다고 밝히는 반면, 남부 지역에 대해서는 "이스라엘(''bit-Humria'')... 그들의 왕 베가를 폐위시키고 호세아를 그들의 왕으로 세웠다"고 언급했다.

쿡은 열왕기하 15장 19절에 기록된 므나헴의 아시리아 조공이 당시 므나헴 왕권에 대한 경쟁자의 존재를 암시한다고 해석한다. 그는 티글라트-필레세르 3세가 서쪽에 나타났을 때 므나헴이 천 달란트의 은을 조공으로 보내 "그가 왕권을 강화하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아시리아의 지지를 얻으려 했다고 설명한다. 열왕기하 15장 19절의 이 표현은 므나헴이 아시리아 세력 앞에서 느낀 불안감이나, 혹은 경쟁자의 존재 가능성을 시사할 수 있다.

이사야서 7장 1-2절은 베가가 아람 다마스쿠스르신 왕과 동맹을 맺어 유다 왕국의 아하스 왕을 위협했다고 전한다. 아하스와 이스라엘(에브라임)의 므나헴은 친아시리아 정책을 따랐으며, 아시리아에 대항하려는 베가와 아람 연합에 맞섰다. 이는 므나헴이 불안감을 느끼고 아시리아의 지원을 구하려 했던 배경을 설명해 준다.

5. 4. 베가의 지위 문제

베가므나헴 치세에 대항하는 왕국을 이끌었다는 가설에 대한 주요 반론 중 하나는, 베가가 므나헴의 아들인 브가히야의 군 지휘관(שָׁלִישׁ|샬리쉬he)이었다는 열왕기하 15장 25절의 기록이다. 베가는 이 지위를 이용하여 브가히야를 살해하고 왕위를 찬탈했다.

그러나 로드거 영(Rodger Young)과 같은 학자들은 이러한 반론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21] 경쟁 관계에 있던 두 인물이 외부의 위협(아시리아 등) 때문에 일시적으로 휴전에 합의하고, 한쪽이 다른 한쪽에게 종속되는 상황은 충분히 가능하다는 것이다. 이후 종속적인 위치에 있던 인물이 기회를 엿보다가 쿠데타를 통해 경쟁자나 그의 아들을 제거하는 것은 역사적으로 비합리적인 일이 아니다. 특히 므나헴과 베가의 경우, 점증하는 아시리아의 위협이 두 경쟁자 사이의 휴전을 설득력 있게 만들었을 수 있다. 기원전 733년, 디글라트-필레세르는 베가의 옛 동맹국이었던 아람의 수도 다마스쿠스를 공격했고, 이듬해에는 도시를 파괴했다. 이러한 상황은 베가와 므나헴(또는 그의 아들 브가히야) 모두에게 현실 정치적인 타협의 필요성을 느끼게 했을 것이다. 하지만 현실 정치는 또한 잠재적 경쟁자에게 군대의 주요 지휘권을 주는 것이 얼마나 위험한지를 시사하며, 브가히야는 이 점을 너무 늦게 깨달았을 수 있다.

이러한 해석은 당시 정치 상황에 대한 추론에 기반한다. 글리슨 아처이집트 제18왕조의 사례를 들어 베가와 므나헴의 경쟁 관계와 유사한 상황을 설명한다.[22] 투트모세 2세가 사망했을 때 그의 아들 투트모세 3세는 아직 어렸다. 투트모세 2세의 왕비이자 투트모세 3세의 계모인 하트셉수트는 남편 사후 파라오의 권위를 차지하고 21년간 이집트를 통치했다. 이 기간 동안 성장한 투트모세 3세는 군대의 지휘관 직책을 맡았는데, 이는 베가가 브가히야 밑에서 지휘관이었던 것과 유사하다. 하트셉수트가 죽은 후, 투트모세 3세는 자신의 통치 기간을 계산할 때 하트셉수트가 사망한 시점이 아닌, 아버지 투트모세 2세가 사망한 시점부터 계산하여 기록했다. 즉, 하트셉수트가 통치했던 21년도 자신의 통치 기간에 포함시킨 것이다. 투트모세 3세가 왜 자신의 통치 기간을 그렇게 계산했는지 명시적으로 설명하는 기록은 없지만, 현대 이집트학자들은 비문 비교와 연대기적 분석을 통해 이러한 사실에 동의한다.

마찬가지로, 베가 역시 브가히야를 살해하고 단독으로 왕위에 오른 해(기원전 740년경)가 아니라, 므나헴과 경쟁하며 길르앗 지역에서 통치를 시작한 시점(기원전 752년경)부터 자신의 통치 기간(20년)을 계산했을 가능성이 있다. 이는 열왕기에 기록된 베가의 통치 기간에 대한 상반된 기록들(20년과 8년) 사이의 불일치를 설명하는 한 가지 방법이 될 수 있다. 영은 이집트 역사학자들이 투트모세 3세의 연대기를 재구성하기 위해 사용하는 추론 방식을 성경 역사 연구에도 적용할 수 있다고 주장하며, 이러한 역사적 방법론을 성경에 적용하는 것을 꺼리는 비평가들에게 "호세아 5장 5절은 어떻게 설명하는가?"라고 반문한다.[21]

참조

[1] 웹사이트 Book of Mormon Pronunciation Guide http://www.churchofj[...] 2012-02-25
[2] 웹사이트 Book of Mormon Pronunciation Guide http://www.churchofj[...] 2012-02-25
[3] 논문 Pekah
[4] 서적 Die biblische Zeitrechnung vom Auszuge aus Ägypten bis zum Beginne der babylonischen Gefangenschaft
[5] 서적 The Mysterious Numbers of the Hebrew Kings Zondervan/Kregel
[6] 서적 Israel and Judah until the Revolt of Jehu (931–841 B.C.) Cambridge University Press
[7] 웹사이트 Pekah http://jewishencyclo[...]
[8] 성경 Isaiah 7:6
[9] 서적 Isaiah Biblia, Cannock
[10] 서적 Ancient Israel: What Do We Know and How Do We Know It? T&T Clark
[11] 서적 Ancient Near Eastern Texts Relating to the Old Testament Princeton University Press
[12] 서적 The Inspiration of Scripture Westminster Press
[13] 서적 biblische Zeitrechnung
[14] 간행물 When Was Samaria Captured? The Need for Precision in Biblical Chronologies http://home.swbell.n[...]
[15] 서적 Mysterious Numbers
[16] 간행물 A Translation Guide to the Chronological Data in Kings and Chronicles
[17] 서적 Hosea: A New Translation with Introduction and Commentary Doubleday
[18] 간행물 Israel and Judah until the Revolt of Jehu
[19] 서적 Handbook of Biblical Chronology Hendrickson
[20] 서적 Amos of Israel: A New Interpretation Mercer University Press
[21] 웹사이트 When Was Samaria Captured? http://home.swbell.n[...]
[22] 서적 Inerrancy Zonderva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